IT/programming

알고리즘 AI가 나의 영상을 추천 하지 않는다.

나령 윤기도 2022. 11. 19.


알고리즘에 대해 쉽게 이야기하긴 어렵지만 처음엔 본인 역시도 알고리즘이 내 영상을 띄운다고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완전 잘 못 생각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되었다.
추천된다는 것은 어떤 시청자가 어떤 내용의 영상을 선호하는지에 따라서  알고리점이 작동한다는 것이다.

   솔직히  알고리즘를  쉽게 분석할 수 있는 것은 사실은 아니다. 하지만 어떤 내용으로 정성을 다해서 영상을 만들어야 된다는 것은 확실한 증거가 아닌가 싶다.
그래서  본인 역시도 요즘은 특별하게 신경을 써서 영상을 만들고 있다.   시간적인 소유가 많이 투자가 되지만은 좀 더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서는 최선을 다해서 영상을  만들어야겠다는 나의 생각이다.

  알고리즘에 대한 논문들에 대한  내용들을 살펴보면은
재미있는 내용들을 많이 볼 수가 있다.
그럼 먼저   알고리즘에 대한 역사를 한번 알아보자.


YouTube는 처음으로 2005년도부터  알고리즘으로 분석을 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래서 처음에 나왔던 알고리즘은  자극적인 제목을 사용하거나 제목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낚시성 동영상을 만들어 올려 조회수를 부풀려나갔다고 한다.
그래서    제목과는 전혀 다른 영상 내용들을 보고는   시청자들의 불만이 쏟아지기도  했다고 한다.


그래서 YouTube는   이런 말도 안 되는 일들로 인해 시청자들의 불만을 잡기 위해 최초로 2016년도부터 인공지능 AI를 도입하게 되었다고 한다.
즉  머신런닝 기법  일하는 것인데  사람이 규칙을 집어넣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가  형성하거나  데이터를 분류하거나  값을  예측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가지고는 보통 사람들은 알 수가 없다. YouTube에서는 어떤 머신 런닝을사용을 하는지 우리는 전혀 알 수가 없다.
하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는 알 수도 있을 것 같다.
좋아요 그리고 싫어요 또한 참여도  채널 내 영상 업로드 빈도에 따라  나름대로 분석 예측을 할 수 있을 것 같아.
그렇다고 해서 모든 것을 다 알 수는 없다.
우리는 YouTube  정책에 따라 갈 뿐이다.
일반 크레이터들은 갑이 아니라 을 이기 때문에
그냥 따라간다.

하지만 알고리즘 선택을 받을 확률에 대해서도 이미 그 내용들은 나와 있다.
어느 연구 논문에 내용을 보면은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나열 해보고자 한다.
먼저 한나라 대통령, 그리고 인기 많은 걸 그룹,
정치인 중에서 그래도 조금 튄다는 정치인 두 사람,  그리고 한때 나라를 시끄럽게 했던 법조계 인물 한 사람   다섯 분류를 가지고 통계를 낸 자료가 있다.
첫째 방송사가  제공하는  영상
둘째 제목 안에  주요 키워드가 많은 영상
셋째  생중계 영상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