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7년 1차 세계대전이 한창인 어느 전쟁터 군 병원에 병사 두 명이 긴급하게 호송됩니다. 호송된 환자들은 총상을 입은 채로 일주일 동안 풀숲에서 엄폐하며 버텨왔습니다. 시기는 가마솥 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한여름. 총을 맞아 벌어진 상처에는 구더기가 들끓었습니다.
“상처 부위의 옷을 제거하는 순간, 수많은 구더기들이 상처 부위에서 우글거리는 광경에 소스라치게 놀랐다...(중략) 역겨움을 씻어내듯 나는 서둘러 구더기들을 물로 씻어내고 식염수로 상처를 닦았다. 그러자 놀라운 광경이 드러났다. 상처가 아무는 선홍색의 육아조직이 보였던 것이다”
1차 세계대전 당시 총상을 입어 상처가 벌어진 병사들의 사망률은 75%에 달했다고 합니다.
이것도 각국의 군 병원이 제공할 수 있는 최선의 치료를 받았다고 가정할 때 말이죠.
총상을 입고 살아남는다고 할지라도 상처 부위가 조금씩 썩어 들어가,
결국 신체 일부를 절단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해요.
그런데 의도치 않게 '구더기 치료'를 받은 병사들은 생존은
물론 상처 부위가괴사해 떨어져
나가는 괴저의 징후도 보이지 않았다고 합니다.
외과의 베어는 이같은 구더기 효과에 관심을 가졌는데요.
베어는 1차 세계대전이 끝난 지 10년 뒤인 1928년 민간인들을 대상으로 '구더기 치료'를 실험합니다.
그는 직접 파리 배양을 할 수 있는 장치를 고안해 병원에 비치합니다.
89건의 케이스에 '구더기 치료'를 실험하는데요. 그 가운데 86건의 케이스가 치료에 성공합니다.
96% 이상의 성공률을 보인 것이죠.
이 연구소의 의료용 구더기는 미식품의약청(FDA)이 인정하는 멸균된 표본이라고 해요. 미식품의약청은 지난 2007년 구리금파리 구더기를 의료기구로 승인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구더기를 의료용으로 사용할 때 반드시 주의할 점이 있는데요. 모든 구더기가 의료용으로 사용될 수는 없고 구리금파리 유충만 의료용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일상 생활에서 흔히 접하는 똥파리나 집파리 등 다른 파리의 유충은 먹을 게 없으면 생살을 파먹기도 한다고 하니, 절대로 치료에 사용해서는 안 됩다고 합니다."
'엔터테이너 > 꺼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줌, 구글 작동을 잘 하는데 [다음]만 검색이 안 되는 이유를 모르겠네요. (0) | 2021.12.13 |
---|---|
국민내일배움카드 발급조건 (2) | 2021.12.13 |
미국 100년만에 최악의 토네이도 (0) | 2021.12.12 |
구더기에 관한 꿈은 모두 길몽 (0) | 2021.12.12 |
2022년 울산 국제 미래 자동차 부품산업 (0) | 2021.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