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관이 다른 사람을 변화시키는 방법 - 1

반응형

이번 21대 대통령선거를 치루면서 지금까지 느끼지 못했던 모습들을 알게되어 정말 마음이 무거웠습니다.
그리고 사상과 가치관에 대한 공부를 새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저 역시 어떤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사람인지를 확실히 알아 갈려고 합니다.
여러분들도 이번 대선을 치루면서 저와 같은 생각들을 하시지 않았을까 짐작이 되기도 합니다.


그래도 요즘은 SNS를 통해 자신의 생각들을 꺼리낌없이 표출할 자유가 있는 나라에 태어남을 감사하고 있습니다.
또한 너무나 공감되는 이야기들을 많이 접하게 되기도 하지만 잘 못 받아들여 병들어 있으신분들이 주변에 너무나 많다는 사실에 마음이 너무 아픕니다.
그래서 요즘 다시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사상이란 무엇인가.?
부부의 가치관.?
정치하는 사람의 가치관.?
대통령의 가치관.?

예를 들어 가치관이 달라도 결혼생활이 가능할까?
다른경우 어떤 방법으로 맞출 수 있을까.
이런것들이 이번 내란과 대선을 통해 더욱 궁금증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부부 손님을 모시면 항상 먼저 조심스럽게 질문을 던집니다.   "같이 한 집에서 사는 부부라면 가치관이 서로 다르다면 어떻게 풀어 가시는지 궁금합니다.?" 라고
과감하게 질문을 해 봅니다.
응대할 상황이 아니라면 문을 닫아 버리겠죠.

지금부터 시작했습니다.  가치관이 다른 사람을 설득하는 법.
바로 재명이 형님께서 수 십년동안 설득해 왔던 그런 노하우를 정리해 나갈까 합니다.
그렇다고 모두 정답이라고 말씀 드릴수는 없습니다.

가치관이 다른 사람들을 설득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효과적으로 접근하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핵심은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신뢰를 구축하는 것"입니다.


공감부터 시작하기

  • 상대의 입장을 먼저 이해하려고 노력하세요.


   “왜 저런 생각을 할까?”보다는
“저 분은 왜 우리와 다른 생각을 하게 된 배경은 뭘까?”

상대의 감정과 경험을 인정해 주면 방어심을 낮출 수 있습니다.

  “당신 말도 일리가 있어요.”, “그런 경험을 하셨다면 그렇게 느낄 수도 있겠네요.”

공통점을 찾아 연결 고리 만들어보자

  • 완전히 반대되는 생각 속에서도 공유할 수 있는 가치(예: 가족, 안전, 정의, 자유 등)를 찾아보세요.


  “우리는 모두 더 나은 사회를 바라는 건 같잖아요.”

  •   공감대가 생기면 저항이 줄어듭니다.




제일 신중해야 될 일 가르치려 들지 않기를 해야 합니다.

훈계하거나 논쟁하려 들면 설득은 오히려 실패합니다.
상대방이 ‘자기 판단으로 선택했다’는 느낌을 받을 때 더 강하게 설득됩니다.

  “이건 제 생각인데, 한번 다른 시각으로도 봐주셨으면 해요.”

이야기(스토리)를 활용하기

  • 단순한 논리보다 구체적인 사례나 이야기, 감정이 담긴 경험이 훨씬 더 설득력 있습니다.


  “제가 그런 생각을 갖게 된 계기는 이렇습니다…”



질문을 던져 스스로 생각하게 유도해 보세요.

  • “왜 그렇게 생각하세요?” “그런 상황이라면 어떻게 하시겠어요?” 같은 질문은 상대의 사고를 유도합니다.
  • 강요보다 “생각의 여지”를 주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감정이 격해지면 일단 멈추기

  • 감정이 앞서면 이성적인 설득이 어렵습니다.
  • 필요하면 대화를 잠시 멈추고 “나중에 다시 이야기하자”고 제안하세요.


결과를 강요하지 않기

  • 사람은 스스로 바뀌어야 변화가 지속됩니다.
  • 설득이 “즉시 동의”로 이어지지 않더라도, 씨앗을 심는 것처럼 장기적인 시각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