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밧데리 종류및 특징

반응형

니켈 카드뮴 밧데리


최대 1 cell 당 1.4V ~ 1.44V, 기준 전압 1.2V, 최대 방전 전압 0.8 V
용량은 600mAh와 1000mAh가 주종
300 ~ 500회 충방전 가능
방전율이 높고 급속 충전 가능
셀 당 가격 저렴



대용량 생산이 어려움
무선, RC 제품에 많이 사용
메모리 효과 있음


니켈 수소 밧데리


최대 전압 1 셀당 1.4 ~ 1.44 V, 기준 전압
1.2 V, 최대 방전 전압 0.9 V
용량은 1000mAH와 1600mAh가 주종
400 ~ 500회 충,방전 가능
대용량 배터리 생산 가능
메모리 효과가 적음
과충전, 과방전에 강함
니켈 카드뮴과 비교해서 방전율은 낮고 생산단가는 높음
급속 충전 시 열이 많이 발생
RC - car에 많이 사용
자가 방전율이 높음

리튬 이온 밧데리

양극을 리튬 코발트 산화물, 음극은 흑연, 전기질은 유기용매
최대 전압은 1 셀당 4.2 V, 기준 전압 3.7 V, 최저 전압 2.7V
1200번 충방전 가능
가볍고 용량이 큼
자기 방전율이 거의 없음
메모리 효과 없음
방전율이 높음
제조 직후부터 열화 시작
용량은 800~1000mAh를 가장 많이 사용
온도에 민감
충격에 약함



최대 전압, 최저전압 이하로 떨어질 경우 배터리 손상 가능
고온, 직사 광선에서 폭발 가능
충전 주기가 길어서 수명이 길다
배터리 팩으로 사용할 경우 하나의 셀이 고장 나면 체인 반응을 일으켜서 전체가 쓸모 없어짐
충전 시 배터리 관리 시스템 필요
30도 이상의 고온에서 사용하지 않기
과충전 금물 -> 폭발 가능
가장 좋은 충전 전압은 3.92V
완전 방전 금물 - 최소로 배터리가 10% 이하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자주 충전해주지 않으면 내부 충전액이 굳어져 수명이 줄어들 수 있음
사용량이 많은 경우 배터리가 뜨거워질 수 있음
충전 시 온도가 올라가고 방전 시 온도가 내려가는 특징




리튬 폴리머  밧데리

양극은 리튬 코발트 산화물, 음극은 흑연, 전해질은 젤리 타입의 고체 폴리머 사용
최대 전압 1 셀당 4.2 V, 기준 전압 3.7 v, 최저전압 2.7 V
대부분 300 ~ 400 회 충방전
가볍고 용량이 큼
자가방전율의 거의 없음
메모리 효과 없음
방전율이 높음
제조 직후부터 열화 시작
온도에 민감
충격에 약함
원하는 모양으로 가공 가능
최대 전압 이상 또는 최저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배터리 손상 가능
고온이나 직사광선으로 인해 화재가능
액체 상의 전해질보다 전도율 낮음
대부분 배터리 팩 형식으로 사용



과충전/과방전이 되면 안 되므로 반드시 보호회로와 함께 사용, 전용 충전기 사용
과충전 될 경우 전해질이 약간 중기화되여 부풀어 오름 -> 층간 박리 발생 -> 신뢰성 및 수명 하
충전 시 폭발 가능하므로 사람 없는 곳에서 충전 안 됨
배터리에 절대 구멍을 내면 안 됨
완충된 상태로 보관하면 안 됨, 상온에서는 3.8V로 보관
폐기방법은 소금물이 담긴 통에 전기선 담그면 방전,
그 후 페기



리튬
인산철  [LiFePO4] 배터리

최대 전압 1 셀당 3.7 V, 기준 전압 3.3. V, 최대 방전 전압 2.2V
1000회 이상 충방전 가능
메모리 효과 없음
과충전 열에 강 -> 화제 위험 없음
무거움
용량이 적고 전압 강하가 많음
사용 전압이 리튬 폴리머보다 낮고 2.2 V 이하로 방전 시 배터리 손상 가능

반응형